청년희망키움 통장이란?
일하고 있는 생계급여수준 청년의 자립을 지원해주는 제도 입니다.
매월 근로소득공제금으로 저축하고 본인의 사업소득에 따라 장려금이 적립되며,
적립된 지원금은 탈수급 시 수령할 수 있습니다.
청년희망키움통장 지원조건
=> 3년 이내 생계 탈수급 (사용 용도 증빙)
1. 적립된 금액 (근로소득공제금, 근로소득장려금)은 3이내 생계급여 수급자에서
모두 벗어나는 경우 지급됩니다.
단, 가입기간동안 근로사업소득이 1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20% 이상을 유지하였으나
만기 후 3월 유예기간 내 탈수급 하지 못한 경우 1회에 한해
만기성공금(누적된 근로소득공제금 전액) 지급이 가능합니다.
2. 가입기간 중 근로사업소득이 연속 6개월 소득하한 미달할 경우 중도해지 됩니다.
3. 사업 참여기간(3년) 중 최대 6개월간 적립중지가 가능합니다.
실직, 본인 및 부양가족의 질병이나 사고 등 부득이한 경우에 한하며,
중지기간 중 근로소득공제금 및 근로소득장려금은 미지원 되며,
사전신청을 해야 합니다.
4. 소득이나 가구원 등을 허위로 신고하여 지원금을 위법,
부당하게 지원받는 가입자는 부정수급자로 혜택을 받을 수 없게 됩니다.
5. 가입기간 중 탈수급 하였어도 소득상한 이내에는
최대근로소득장려금 적립이 가능합니다.
(소득인정액이 아닌 자격 요건상 근로사업소득기준) 단, 최근 3월 평균 소득상한 초과시
전월까지 적립된 금액이 모두 지급되고 사업 종료 됩니다.
청년희망키움통장 지원대상
생계수급 가구의 만 15세 이상 ~ 39세 이하 청년 중
근로,사업소득이 기준중위소득 20% 이상
(1인 가구 기준 약 33만원 이상 소득요건 충족 시 1가구당 1회 지원 가능)
* 실질혜택
근로소득공제금 = 10만원
근로소득장려금 = 3년 만기시 월 소득 81만원 기준으로 평균 1,440만원, 최대 2,106만 원이 적립됩니다.
청년희망키움통장 신청방법
지역이 한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본인이 거주하는 지역 주민센터에 망문하여 문의 후 가입 합니다.
1. 해당주민센터에 관련 서유 제출 - 자격요건 확인 후 보장결정 요청
2. 자격 요건 및 탈수급 의지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 후 지원대상자 선정 (시군구)
3. 20일 이내 신청인에게 결과통보 및 신규 계좌 개설( 하나은행) 안내
4. 본인적금계좌 및 입출금 계좌 개설(약정된 본인 적금은 없으며 매월 최대 50만원 까지 자유불입가능)
5. 매월 23일 부터 말일까지 행복e음 통해 근로소득공제금 및 근로소득장려금 적립
(근로소득장려금은 중앙자활센터에서 적립)
희망키움통장1
= 만 15세 이상 ~ 만 39세 이하 일반노동시장 취업, 창업자 생계 의료 수급가구 중
근로소득이 기준중위소득 40%의 60% 이상인 경우 가입 가능
월 본인 저축액 5만원 또는 10만원 선택가능
정부지원액은 근로소득장려금 3인 가구 (월 소득 130만원 기준)
1) 월 저축 10만원 - 월 평균 36만원
2) 월 저축 5만원 - 월 평균 18만원 입니다.
실질적인 혜택은 (3년, 3인 가구 기준)
1) 월 저축 10만원 - 평균 약 1,7000만원 / 최대 2,200만원 적립
2) 월 저축 5만원 - 평균 약 830만원 / 최대 약 1,100만원 적립됩니다.
희망키움통장2
= 소득인정액이 기준중위소득 50% 이하인 주거, 교육급여 수급가구 및 기타 차상위계층으로 현재 근로활동 중이며,
근로 사업소득이 있는 가구에 한해 가입 가능
월 본인저축액은 10만원 고정이며, 정부티원금액은 근로소득장려금 (본인저추액 1:1) 입니다.
실질혜택으로는 3년 기준 평균 720만원 입니다.
내일키움통장
= 자활근로 사업단 참여자 (최근 1개월 성실참여자) 가입대상이며,
월 본인 저축액은 5만원, 10만원 중 선택 가능합니다.
정부지원액은 내일근로장려금 (본인저추액 1:1), 추가지원액으로
내일키움장려금(시장진입형)과 내일키움수익금이 있습니다.
실질혜택으로는 3년 기준 평균 1,368만원 부터
최대 1,620만원 적립 가능합니다.
---
지금까지 청년 자립을 지원하는 국가제도인
청년희망키움통장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자립 지원 제도라고 해서 굉장한 기대를 가지고,
예를들어 얼마 저금 안했는데 몇배를 가져다 주고, 뭐 이런 로또같은 기대를
하고 들어왔을진 모르겠습니다만,
이런 제도를 어떻게 활용해볼 수 있을지 고민해고
목적에 맞게만 사용한다면 분명 목돈 모으는데 도움이 될겁니다.
토지이용계획확인원열람방법 - 부동산 거래전 확인사항 (0) | 2020.05.29 |
---|---|
2020년 기초노령연금 수급자격 과 재산 (0) | 2020.05.29 |
상속세와 증여세 세율 면제한도 절세방법 (0) | 2020.05.22 |
신혼부부 아파트 특별공급 자격조건 (0) | 2020.05.21 |
주택연금 가입조건 및 수령액 조회 방법 (0) | 2020.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