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파파



사계절 중 화재 위험이 가장 높은 시기는 봄 이죠.

살랑살랑 부는 바람과 건조함 때문에 화재발생 위험이 있기 때문 입니다.


그런데 봄에만 불 조심 해야한다? 그건 아니죠. 


화재라고 하면 크게는 산불에서부터 생활 속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 까지

언제 어디서 어떻게 일어날지 모르는 것 입니다.


무방비 상태로 지내다가 화재시 큰 사고로 당할 수 있으므로 미리 알아두고 

대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 합니다.


그래서 이번엔 실생활 속 화재를 대비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려고 해요.





상황별 화재 대비책

1. 주거생활 (주택, 아파트) 화재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마무는 곳이 바로 집이니 만큼, 평균적으로 가장 많은

화재가 발생하는 곳이 주거지 입니다.

가장 기본적으로 주의해야하는 주거생활 속 화재 대비책 입니다.


- 일상생활 필수품이라고 할 수 있는 전자레인지 사용 시 전자파를 반사시키는 금속류나

호일을 사용하면 절대 안됩니다. 전자레인지 내부에 불꽃이 일어나 화재가 일어날 수 있으니

꼭 주의 하셔야 합니다.


-콘센트 사용

하나의 콘센트에 여러가지 전기기구를 접속시켜 사용하면 과부하로 인한 화재 발생 우려가 있습니다.


플러그를 콘센트에 접속시킬 때 완전히 접속 시키지 않으면 접촉 불량으로 과열을 일으킬 수 있고,

코드를 뽑을 때에는 전선이 아닌 플러그를 잡고 뽑아야 전선 끊어짐이나 합선으로 인한 화재를

막을 수 있습니다.

콘센트에 먼지가 많이 쌓일 경우 고장이나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청결하게 관리 해야 합니다.


- 잠자리에 들거나 외출 시에는 난방기기, 충전기 등을 확인하는 습관을 생활화 해야 합니다.


- 소화기는 반드시 손에 잘 닿는 곳에 두고, 습하거나 햇빛이 드는 곳을 피해서 비치해 두어야 합니다.


*소화기 사용법

소화기는 제조 날짜를 확인하고 너무 오래되었다거나 작동이 잘 되지 않는다면 교체를 해야 합니다.

화재 시 큰불이 되지 않도록 초기 진압 대응에 필수적인 것이 바로 소화기 이므로 잘 보이는 곳에

비치해 두어야 겠습니다.


소화기는 손잡이 부분에 있는 안전핀을 뽑고 바람을 등지고 서서 호스를 힘껏 움켜쥔 뒤

뿌려주어야 합니다.


소화기가 비치되었어도 실제 사용법을 모르면 무용지물이니 반드시 숙지해 두어야 합니다.





실생활속 화재 대비책

2. 차량 화재


현대인이 집 이외에 가장 오랜 시간 머무는 공간이 바로 차 입니다.

달리는 차량에서 갑자기 불이 난다면 누구든지 당황하여 제대로 대피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타고 다니기 위해서 반드시 화재 대비책을 알아두는것이 좋습니다.


- 엔진과열 주의, 온도와 냉각수 점검

기계적 화재의 대표적인 원인이 바로 엔진과열 입니다. 엔진은 인화성 물질과 만나게 되면

화재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또한 무더운 여름이나 히터를 장시간 사용하는 겨울, 가속폐달로 인한

마찰 열 등 엔진과열을 일으키는 다양한 요소들을 생각하여 주행 시 엔진 온도 상승에 주의하고

냉각수가 충분히 들어있는 상태인지 늘 점검하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 차량용 소화기 비치

올해 5월부터 5인승 차량에도 소화기 비치가 의무화 됩니다. 차량용 소화기는 자동차겸용

표시가 되어 있어야 하며, 흔들리지 않도록 거치대를 이용해 운전자가 손을 뻗어 닿을 수 있는

곳에 설치해야 합니다.


- 차량 자체결함에 대한 지식 습득

아무리 조심한다고 하더라도 차량 자체에 결함이 있다면 화재를 대비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자동차를 구매할 때에는 해당 차종에 대해 결함이 있는지 여부를 미리 알아보고

이슈화 되는 문제점이 있는지 주기적으로 체크하는 것이 좋습니다.





실생활속 화재 대비책

3. 담뱃불


건조한 날씨에는 작은 불씨로도 큰 불이 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특히 담배는 흡연구역이 아닌 곳에서도 피는 사람들이 많으며 바닥에 버리고, 제대로 불씨가

꺼졌는지 확인하지 않는다면 화재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지정된 장소에서 흡연을 하고

마지막 까지 불씨가 완전히 꺼졌는지 꼭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실생활속 화재 대비책

4. 비상구


예방 만큼 중요한 것은 없습니다. 하지만 이미 불이 났다면 그 상황에서 대피하는것역시 중요 하겠죠.

화재는 언제 어디에서 발생할지 모르기 때문에 어디를 가든지 비상구 위치를 미리 알아두어야 합니다.


특히 영화관이나 백화점, 식당 등 사람들이 모여 있는 장소에서는 화재 시 우왕좌왕 하며

한꺼번에 몰릴 가능성이 있으므로 가까운 비상구 위치를 확인해두어야 합니다.


-

지금까지 실생활속 화재 대비책을 알아보었어요.


대부분의 화재가 무관심과 부주의로 인하여 발생한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일상생활 속 위험요인을 항상 점검하고 주의하는 습관을 기르드록 노력 합시다!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