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파파


많은 사람들이 학업을 마친 후에도 열심히 공부를 해서 공무원이 되고자 하는 이유 중 하나는

정년 퇴직 후에 받을 수 있는 연금이 아닐까 싶습니다.


고령화에서 초고령화 사회로 넘어가고 있기 때문에 노후의 불안함에 더욱 안정적인 정년을 기대하며

공무원에 관심을 가지게 되는 것 같습니다.

정부에서도 공무원을 언제까지 얼만큼 늘리겠다! 라는 발표도 했고요.


옛날 저희 어머니 말씀이 떠오르네요. "따박 따박 월급 나오는 회사가 최고야~"


월급은 당연하고 연금까지 확실하게 보장되니 공무원!

이제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갖고 계시는 공무원 정년 퇴직 나이와 연금금액, 그리고 지급시기 알아볼게요.






첫번째. 공무원 연금이란?


공무원이 퇴직하거나 사망하는 경우, 공무수행 중 부상이나 질병, 장애 등이 발생하게 되면 공무 본인과

유족들을 위해 일정 금액을 지급해주는 종합사회보장제도입니다.


공무원의 퇴직 후 연금에는 퇴직금과 재해보상급여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일반 근로자들이 회사에서

받는 퇴직금과 같은 개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두번째. 공무원 정년퇴직 나이는?


공무원의 정년퇴직 시기는 만 60세 이지요.

하.지.만. 2022년 부터 65세까지 연장하는 법안을 검토 중에 있다고 합니다.


한번에 시행하지는 않더라도 조금씩 늘려가면서 연장하고, 신규 합격자에 한해서만 적용되는 것이 아닌

이미 재직중인 공무원들도 구간별로 나뉘어 적용할 계획 이라고 합니다.


공무원의 정년퇴직 연장이 확정된다면 뒤이어 공기업과 사기업 또한 영향을 받아 평균 퇴직 연령이

50대에서 조금씩 늘어나 심각한 고령화 사회에서 노후의 생활안정에 대한 사회적인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점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해 봅니다.






세번째. 공무원 연금 수령액


공무원 연금은 현재 적자가 심각하게 진행중인 상황에서 연금개혁으로 인해 2016년 이후

연금지급률이 연도별로 상이하게 책정되었습니다.


본인 기여율정부 부담률이 9%로 상향조정되었고,

연금지급률은 1.9%에서 1.7%로 하향 조정되었습니다.


또한 소득격차를 줄이기 위해 연금지급률 중 1%는 재직 30년 까지

'소득 재분배 적용 비율'을 적용하였습니다.


간단하게 정리해볼게요.





※ 공무원 퇴직연금 지급기준


평균기준소득월액 x 재직기간별 적용비율 x 재직연수 x 1.7%(연금지급률)


예시로 만약 공무원 평균 재직기간이 31년 7개월 정도라고 했을때,

월 평균 연금지급액 = 233만 2,000원 입니다.


해당 연금은 재직기간과 기준소득월액에 기초하여 산정 되며

사망시까지 매월 연금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네번째. 정년 퇴직 후 연금 지급시기


원래 공무원 퇴직 후에는 바로 연금 수령이 가능했으나, 수령시기를 60세 에서 65세로 연장하였습니다.

또한 형평성에 어긋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시기별로 조금씩 연장하는 방안을 채택하였습니다.

(2010년 이전 임용자는 퇴직 이후 바로 연금수령이 가능합니다.)


년도 별로 알아볼게요.


- 2016년 ~ 2021년 퇴직 공무원: 60세부터 지급

- 2022년 ~ 2023년 퇴직 공무원: 61세부터 지급

- 2024년 ~ 2026년 퇴직 공무원: 62세부터 지급

- 2027년 ~ 2029년 퇴직 공무원: 63세부터 지급

- 2030년 ~ 2032년 퇴직 공무원: 64세부터 지급

- 2033년 ~ 퇴직 공무원: 65세부터 지급


어떻게, 도움 되셨나요?


공무원을 목표로 하고 계신다면 성공 하시길 바라며,

현 공무원 이시라면 남은 기간 잘 채우시길 바랍니다 -!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