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페이란?
가맹점에서 신용카드로 결제 시 발생되는 카드 수수료보다
적은 수수료가 발생되도록 하여 소상공인에게 보탬이
되고자 정부와 서울시, 각 지자체와 금융회사와
결제사업자의 협의를 통해 만들어졌으며,
연매출 8억원 이하의 판매자는 가맹점 수수료가 0% 라는
혜택을 받기 때문에 높은 신용카드 수수료의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소비자 입장에서는 각종할인과 더불어
제로페이 이용금액의 30%를 소득공제로 받을 수 있따는
장점이 있습니다.
(2019년 40%에서 인하되었습니다.)
또한, 공용주차장이나 문화시설 등
공공시설 사용시에도 이용요금을 할인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지자체마다 적요오디는 부분을 확인하는 것이
정확하며, 차츰 할인 적용 대상을 확대할 예정 이라고 하네요.
제로페이 사용방법
높은 소득공제 혜택을 제공하는 제로페이는
판매자는 가맹점신청을 통해 가능하며,
소비자는 기존에 사용하던 금용사 어플을 통해
제로페이 결제가 가능합니다.
별도의 결제 어플을 깔지 않고도 기존의 금융사 어플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간편하다고 할 수 있으며
신한은행(SOL), IBK기업은행, 우리은행,우체국,
네이버페이 SSG페이 등 20여개의 금융사와
15개의 핀테크 어플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해당되는 어플을 통해 계좌등록을 하고,
전용메뉴 또는 위젯으로 QR코드를 스캔하거나
멤버쉽을 이용하는 것처럼 바코드를 보여주면
점원이 직접 바코드를 스캔하는 방식을 통해
결제를 진행할 수 있고,
결제된 금액은 계좌이체를 통해
수수료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소상공인 자영업자의 제로페이 신청 시
가입비는 전액 무료이고 가맹점 신청 시,
기존 서울페이 홈페이지와 우편으로 신청하는 것에서
제로페이 공식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으로 등록할 수 있도록
변경되었습니다.
또한 소비자들은 제로페이 공식홈페이지를 통해
근처에 위한 제로페이 가맹점 찾기도 가능합니다.
제로페이 소득공제 받는법
제로페이는 총 소득의 25%를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서 연말정산을 할 때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결제 시스템 입니다.
만약 단순히 소득공제율이 신용카드보다 높기 때문에
제로페이를 사용하고자 한다면
결제금액에 따라 잘 따져보고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총 소득 대비 결제금액 총액이 25%이하라면
혜택 좋은 신용카드만을 사용하는 것이 이득이며,
이후에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서는 제로페이로
결제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예를 들어 연봉 3000만원 이라고 가정했을때
750만원은 혜택 좋은 신용카드로 결제 하고
그 이후 결제하는 건에 대해서는
소득공제율이 높은 제로페이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높은 카드 수수료의 부담을 줄이고
소상공인의 경제 활성화를 위해 만들어진 제로페이는
비록 40%라는 높은 공제율에서
30% 인하되었지만
좋은 취지로 시작된 만큼,
많은 소비자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더 많은 혜택과 가맹점들이
생겨났으면 좋겠습니다.
사회초년생 신용카드 추천, 혜택 정리 (0) | 2020.05.11 |
---|---|
근로장려금 신청자격 및 신청방법 (0) | 2020.05.03 |
퇴직금 지급기준 지급기한 (중간정산 가능) (0) | 2020.04.29 |
미등기 아파트 전세계약시 주의사항 (0) | 2020.04.28 |
연말정산 경정청구 기간과 방법 (0) | 2020.04.23 |